루미큐브란?
루미큐브 한글 워드 게임 방법
1. 게임의 목표
자신의 받침대에 있는 타일로 한글 낱말을 만들어 가장 먼저 테이블 위에 모두 내려놓는 것이다.
2. 난이도 조절하기
한글 워드는 쌍 자음이나 이중 모음 타일로 조합되는 낱말이 많지 않아 조금 어렵게 느껴지기도 한다.
이럴 때는 쌍 자음 또는 이중 모음의 타일 수를 조절하여 게임 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또한 기본적인 게임 방법 외에도
창의적인 방법으로 난이도를 조절하여 게임이 가능하다.
예)특정 단일 품사 만으로 조합하는 게임을 진행하거나 외래어를 금지하면 난이도가 높아지게 되며
한 글자로 된 낱말 조합을 허용하게 되면 난이도가 낮아진다.
3. 게임 준비
자음 타일을 보이지 않게 잘 섞은 다음 각자 7개씩 나눠 가지고 남는 타일은 자음 주머니에 넣는다.
모음 타일도 잘 섞은 후 각자 7개 씩 나눠 가지고 남는 타일은 모음 주머니에 넣는다. 타일 주머니의 타일은 게임 중
자기 차례에 내려놓을 타일이 없을 때 가져가는 타일이다.
한글워드를 익히기 위해서는 가능한 모든 품사를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되며, 난이도 높은 게임을 위해서는 단일 품사를 정한 후 게임을 시작한다.
순서 를 정하고 시계 방향으로 진행한다.
4. 품사 정하기
◆ 명사 : 사람 또는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낱말.
예) 구름, 바다, 무지개, 엄마, 아빠, 크레파스.
◆ 동사 : 동사란 사람 또는 사물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낱말.
예) 가다, 걷다, 달리다
◆ 형용사 : 사람 또는 사물의 상태나 성질을 나타내는 낱말.
예) 느리다, 눈이 부시다, 구름은 하얗다
◆ 부사 : 문장의 형용사나 동사, 부사를 더 자세하게 설명해 주고 꾸며 주는 역할을 하는 말로 단어나 문장을 재미있고 풍부하게 만들어 준다.
예) 아주, 너무, 오늘 날씨가 매우 덥다
● 한글 워드를 익히기 위해서는 가능한 모든 품사를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되며 대표적인 품사 외에
방언, 활용어, 신조어 등을 활용하면 더 재미있는 게임이 된다. 한 개의 품사로만 게임을 진행하게 되면 난이도가 높아진다.
5. 게임 하기
처음 테이블에 낱말을 내릴 때에는 반드시 타일 6개 이상, 두 글자 이상의 낱말이어야 한다. 이것을‘등록(initial meld)’이라 한다.
등록을 할 수 없거나 다음에 하기로 결정했다면 타일 주머니에서 타일 한 개(자음, 모음 중 선택)를 가져 가고 다음 게임자에게 순서가 넘어간다.
‘등록’을 할 때에는 자신이 가진 타일로만 해야 하며, 다른 게임자가 내려놓은 낱말과 조합할 수는 없다.
등록을 마친 게임자의 다음 차례에는‘등록’규정이 사라지게 되며, 1분 안에 두 글자 이상의 낱말을 만들어 내려놓을 수 있다.
다른 게임자가 만들어 놓은 낱말에 자신의 타일을 붙여 새로운 조합을 할 수 있으며, 자신의 타일 만으로도 새로운 낱말을 만들 수 있다.
이 때 한 글자로 이루어진 낱말은 남겨둘 수 없다.
각 게임자는 자신의 차례에 1분이라는 시간이 주어지며 1분 안에 몇 개의 낱말을 만들어도 상관없으며, 만약 1분 이내에 게임자가 테이블 위의 낱말의 조합을 완성하지 못했다면
즉시 조합을 멈추고 모든 타일을 제자리에 돌려놓아야 하며, 벌칙으로 타일 주머니에서 타일 3개(자음, 모음 중 선택)를 가져가야 한다.
만약 원위치 못 시킨 타일이 있으면 타일 주머니에 넣고 그 수만큼 더 가져가야 한다.
등록하기 예시
![](/default/img/mobilen/images/sub1/hangeul initial meld make 001.png)
6. 낱말 조합
낱말 조합은 ‘루미큐브 한글 워드’ 게임에서 가장 흥미로운 부분이며, 테이블 위에 내려놓은 많은 타일을 이용해서 낱말을 분리하거나 조합하여 새로운 낱말을 만드는 것이다.
단, 테이블 위에 남아있는 낱말은 항상 국어사전이나 사전앱(위키 백과, 네이버 사전, 다음 사전)에 등록된 낱말이어야 한다.
낱말은 아래의 여러가지 방법으로 만들 수 있다.
다른 게임자가 내려 놓은 타일이라도 자신의 타일과 새로운 조합을 할 수 있으며 낱말을 분리하거나 붙여서 새로운 낱말을 만들 수 있다.
이렇게 새로운 조합을 하더라도 국어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낱말이어야 한다.
만약 사전에 없다고 판단되는 낱말을 내려 놓았다면 게임자 모두가 국어사전을 찾거나 사전 앱을 검색하여 맞는지, 틀렸는지 확인 한 후 결정한다.
사전을 검색하는 동안 시간은 멈춰져야 하며 검색 후 멈추었던 시간에서 다시 시작한다.
▶ 두 글자 이상의 낱말에 1개 이상의 타일을 붙여 새로운 낱말 만들기 :
테이블 위에 있는 ‘한글’ 의 ‘글’ 에서 ‘ㅡ’ 를 떼어내고 받침대의 ‘ㅓ’ 를 붙여 ‘걸’ 을 만들고
떼어낸 ‘ㅡ’ 와 받침대의 ‘ㅇ’ 과 ‘ㅁ’ 을 조합하여 ‘음’ 을 만들어 ‘한걸음’ 이라는 낱말을 완성한다.
▶ 세 글자 이상의 낱말을 분리하여 두 개의 새로운 낱말 만들기 :
요리사의‘요리’는 그대로 두고 ‘사’ 를 분리하여 ‘ㅅ’ 에 받침대의 모음 ‘ㅣ’ 을 돌려 ‘ㅡ’ 로 사용하고 ‘ㅇ’ 붙여 ‘승’ 을 만들고
받침대의 ‘ㅁ’ 과 ‘ㅏ’ 를 붙여 ‘승마 ’라는 낱말을 완성한다.
7. 조커
조커는 어떤 타일이든 대체해서 사용할 수 있다. 테이블 위에 있는 조커의 자리에 적합한 타일을 놓을 수 있다면
그 타일을 놓고 조커를 가져와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테이블에 있었던 조커든, 자신이 내린 조커든 다시 받침대로 가져갈 수 없으며,
가져온 즉시 사용해야 한다. 단, 등록을 하기 전에는 조커의 자리에 적합한 타일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사용할 수 없다.
조커가 포함된 낱말에 다른 타일을 붙이거나 분리하여 조커를 가져와 사용할 수 있다.
만약 게임이 다 끝날 때까지 조커를 가지고 있는 게임자는 벌점 30점을 받는다.
조커는 등록 시 자신의 받침대의 타일과 조합하여사용할 수 있다.
조커를 사용하는 방법 :
▶ 이미 내려진 낱말에 자기 받침대의 조커 타일로 두 개의 낱말 만들기 :
‘밝혀내다’ 를 분리하고 ‘조커’ 를 사용하여 ‘밝다’ 와 ‘현대’ 를 만든다.
▶조커가 포함된 낱말에 자기 받침대의 타일로 두 개의 낱말 만들기 :
조커가 포함된 ‘보자기’ 라는 낱말을 분리하고 자신의 받침대의‘ㅈ’, ‘ㄷ’을 이용하여 ‘보도’, ‘기자’ 라는 두 개의 낱말을 만든다.
▶ 받침대의 타일로 이미 완성된 낱말 뒤에 덧붙여 새로운 낱말 만들기 :
‘전화’ 라는 낱말에 ‘조커’와 ‘ㅣ’ 를 붙여 새로운 낱말 '전화기’를 만든다.
8. 우승자
한 게임자가 자신이 가진 타일을 조합하여 다 내려놓고‘루미큐브’라고 외치면 그 게임자가 우승하게 된다.
나머지 다른 게임자들은 자신이 가진 타일의 개수가 가장 적은 게임자 순으로 2, 3, 4위가 된다(점수 계산 참조).
만약, 게임을 시작하여 25분이 경과하여도 게임이 종료되지 않는다면 즉시 멈추고 각자 남은 타일의 개수가 가장 적은 게임자가 우승하게 된다.
게임이 종료되고 점수계산 시 받침대에 조커가 남아 있다면 조커 한 개에 마이너스 30점이 주어진다.
만약, 게임 중 타일 주머니(자음 또는 모음 중 하나라도)에서 타일이 모두 없어지더라도 게임은 계속할 수 있으며,
더 이상 낱말을 만들어 낼 수 없는 게임자가 생기면 게임은 끝이 나고, 각자 자신의 받침대에 남은 타일의 개수가 가장 적은 게임자가 우승하게 된다.
9. 점수 계산
한 게임자가 모든 타일을 다 내리고 ‘루미큐브’ 라고 외치면 나머지 게임자들은 자신이 가진 타일의 개수가 마이너스 점수가 되며,
이 점수를 모두 더하여 승자의 플러스 점수가 된다. 계산이 바르게 됐는지 확인하려면 게임자의 마이너스 점수의 합과 플러스 점수가 같은지 확인하면 된다.
만약 타일 주머니의 타일을 모두 가져갔는데도 아무도 ‘루미큐브’ 를 외친 게임자 없이 게임이 끝날 경우에는
마지막 타일을 가져간 게임자 까지 한 번씩의 기회가 주어진다. 각 게임자가 가진 타일 개수의 합이 가장 적은 게임자가 게임에서 이기게 된다.